학회공지

보내기

2026년 6월 18일(목) - 19일(금) 2026 AATK Conference 안내

작성자 대학원 행정조교 등록일 2025-10-20 조회수27

북미한국어교육학회 2026 학술대회 개최 안내

경계를 넘어:  
다학제커리어커뮤니티 연계를 통한 한국어 교육

Beyond Boundaries: Bridg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cross Disciplines, Careers, and Communities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한국어 교육은 학문적 탐구, 전문적 목적, 그리고 공동체 참여의 교차점에 서 있습니다. 2026년 AATK 학술대회 주제 경계를 넘어 (Beyond Boundaries)” 는 학제 간 벽을 허물고 기관 간의 한계를 넘어 학습자, 교육자, 그리고 커뮤니티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협력적이고 포용적인 연계와 실천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올해 학술대회는 한국어 교육이 한국학 및 인문·사회과학 분야와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지, 그리고 실생활과 전문 분야 (학문, 직업, 실무 등)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 논의의 장이 되고자 합니다. 특히 콘텐츠 중심(content-driven), 목표 지향적(purpose-oriented) 교수 방식을 통해 학습자의 참여와 비판적 사고는 물론 의미 있는 학습 연결을 이끌어내는 현장 중심의 연구와 실천 사례의 발표를 기대합니다. 

 

또한 일반 학습자, 계승어 학습자, 전문·직업 목적 학습자를 위한 다양한 커리큘럼 모델, 교수 실천, 교수 자료 개발에 관한 발표를 환영합니다. 학문, 비즈니스, 법률, 의료 등 전문 목적 한국어 과정을 포함한 폭넓은 사례와 더불어, 교실 수업과 커뮤니티 협력, 제도적 지원을 연결하는 협업적 교육 모델에도 특별한 관심을 둡니다.

교육자의 핵심적인 역할을 인식하며, 이번 학술대회는 교사 양성, 멘토링, 교수진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 간 협업과 관련된 주제도 적극적으로 다루고자 합니다. 특히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이 지속 가능하고, 포용적이며, 지역 사회(공동체)와의 연계를 통해 협력적이고 지속 가능한 교육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실천 사례와 연구도 장려합니다.

 

다가올 미래를 함께 그려가며, 2026 AATK 학회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나누고, 협력의 기회를 확장하며, 한국어 및 한국학과 문화 교육의 미래를 함께 구상하는 열린 장이 될 것입니다.

 


발표 주제 제안:

올해의 주제에 따라, 아래와 같은 하위 주제를 포함한 다양한 연구와 실천 사례의 공유를 장려합니다. 아래 목록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이외의 관련 주제 제안도 환영합니다.

 

▪ 커리큘럼과 교과 콘텐츠 통합 (Curriculum and Content Integration)

o   학문 목적, 전문 목적, 직업 목적 한국어 과정(상급 과정 포함) 설계

o   한국어 교육과 한국학, 학제 간 교과과정 연계

o   콘텐츠 기반, 주제 중심, 과업 중심 교수 설계

 

▪ 포용적 교수법 및 학습자 참여 (Inclusive Pedagogy and Learner Engagement)

o   계승어 학습자 및 다양한 배경의 학습자를 위한 교수 방안

o   학습자의 정체성 형성, 소속감, 주체적 참여 촉진 전략

o   문화적 관련성을 반영한 학습자 중심 교수법

 

▪ 프로그램·기관·커뮤니티 간 협력 (Collaboration Across Programs, Institutions, and Communities)

o   학내 한국어–한국학 프로그램 간 협업 사례

o   타기관 및 지역 대학 간 공동 커리큘럼/자료 개발 및 연계

o   K–12, 지역 사회, 한인 공동체 등과의 교육 협력 모델
 

▪ 교사 개발자원 공유기관 지원 (Teacher Development, Resource Sharing, and Institutional Support)

o  교사 연수, 멘토링, 교수자 역량 개발

o  소규모 기관 간 지원 공유 및 협업 구조

o  교육자 및 프로그램을 위한 제도적 지원과 지속 가능한 모델
 

한국어 교육 연구 및 교수 실천 전반에 걸친 다양한 발표 지원을 환영합니다. 올해의 주제에 직접 관련되지 않은 주제도 제출 가능하며, 특히 K–12 교육자의 참여를 장려하고 K–12 발표자를 위한 워크숍 세션이 별도로 마련될 예정입니다. 
또한 우수 논문을 발표한 대학원생에게는 특별 시상이 주어집니다. (단, 교수와 공동 발표한 논문은 시상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초록 제출  지침 사항>

1. 학술대회 발표 유형

· 워크샵 세션 (75 ): 프로그램, 수업 자료, 학습 활동, 평가 방법 개발 등과 관련된 보다 실질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워크샵. 적극적인 참여자들의 참여 유도 필수.

· 연구 논문 (20  발표질의응답 10): 한국어 학습과 교육 관련 학술적 연구 발표. 연구 동기, 데이터 수집, 연구 분석 및 결과에 대한 토론 포함 필수.

· 교수-학습 논문 (15분 발표/질의응답 10): 새롭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사례 및 자료를 공유하는 발표.

· 포스터 세션 (75): 진행 중인 프로젝트나 연구 내용을 시각 자료(포스터)를 통해 소개하고, 발표자와 개별 또는 소그룹의 참석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깊이 있는 질의응답과 토론 중심의 발표

2. 초록 제출 시 유의 사항

·초록 제출은 북미한국어교육학회 현회원들만 가능.

·초록 제출 이후 발표자/저자 추가 불가.

·초록 심사 결과 발표 이후 모든 발표자/저자는 2026 4 15일까지 연례 학술대회 선등록 필수. 학회 등록 시 그리고 발표 시 AATK 회원 상태 계속 유지 되어야 함.

·회원가입과 연례 학술대회 선등록이 마감 날짜까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학회 프로그램에서 발표자/저자 이름 제외. 세션 담당자들도 북미한국어교육학회 회원이어야 하며 연례 학회 등록 필수.

·모든 발표는 독창적인 연구여야 하며 타 학회에서 발표했거나 학술지 등에 이미 게재된 논문은 제외.

3. 길이: 영어 또는 한국어로 최대 500 어절 + 참고문헌 250 어절

4. 초록 제출 개수 제한:  한 사람 당 두 개까지만 제출 가능 (단독 발표 한 개와 공동 발표 한 개또는 단독 발표 없이 두 개의 공동 발표).

5. 공동 발표자/저자 수 제한한 초록 당 다섯 명까지 가능.

6. 초록 제출 방식이곳에 제출해 주십시오 (온라인 제출 서버는 곧 열 예정이며, 추후 공지해 드리겠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영문 공고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초록 제출이나 프로그램 관련 문의는  2026년 학술대회 프로그램 체어, Angela Lee-Smith (angela.lee-smith@yale.edu)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